분류 전체보기93 기능이 제약된 웹 브라우저를 위해 웹 페이지를 어떻게 만드나요? 질문을 일반화해보면, 웹 브라우저마다 제공하는 기능이 다른데 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의도한 대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웹 페이지를 만드냐는 것이다. 과거에 비슷한 질문에 대해 공부한 적이 있다. 웹 브라우저 스펙 차이에 따른 스타일링 이슈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위에서는 특히 스타일을 통일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스타일뿐만 아니라 기능을 통일하기 위한 방법까지 알아보고자 한다. 크로스 브라우징최대한 많은 종류의 웹 브라우저에서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 웹 페이지를 만들 때, 동일한 하나의 웹 페이지라도 웹 브라우저에 따라 다르게 보이고 작동하게 된다. 이는 웹 브라우저마다 사용하는 렌더링 엔진*이 다르기 때문인데, 웹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어느정도 해결할 수 .. 2024. 10. 29. Git Commit Convention 형상관리 툴 Git을 사용하며 Commit 시 Commit Message를 작성하는 규칙을 Commit Convention이라고 한다. 협업 시 특정 Commit의 내용을 통일된 형태로 기록하기 위해 혹은 시간이 지나도 특정 Commit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하기 위해 Commit Convention을 준수하여 Commit Message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Udacity Style을 기본으로 한다. 구조 먼저 Commit Message는 크게 다음의 구조를 가진다.type: Subjectbodyfooter 순서대로 제목, 본문, 바닥글로, 본문과 바닥글은 필수는 아니고 선택 사항이다. 제목 제목은 type과 subject로 구성된다. typefeat: 새로운 기능 추가fix: 버그 수정.. 2024. 10. 29. MODULE_NOT_FOUND 에러 해결하기 MODULE_NOT_FOUND 에러 연결 리스트 코드 작성 후 테스트를 위해 test.js를 실행시켰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123456789101112131415PS C:\Users\minha\Desktop\boj-javascript> node test.jsnode:internal/modules/cjs/loader:1080 throw err; ^ Error: Cannot find module 'C:\Users\minha\Desktop\boj-javascript\test.js' at Module._resolveFilena.. 2024. 10. 28. 클래스 ② 클래스 고급 앞서 클래스란 무엇인지, 그리고 클래스 내부의 생성자와 메소드는 어떻게 정의하는지 알아보았다. 클래스는 객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함이라고 하였는데, 앞서 배운 내용만으로는 단순히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에 그치지 않는다고 생각될 것이다. 이번 글에서 클래스가 어떻게 객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생성하는지 알아보자. 상속 상속이란 클래스의 선언 코드를 중복해서 작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드의 생산 효율을 올리는 문법으로, 어떤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속성과 메소드를 다른 클래스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속성과 메소드를 물려주는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 물려받는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라고 한다.class 자식 클래스 이름 extends 부모 클래스 이름 {}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는 필요할 경우 부.. 2024. 10. 28. 클래스 ① 클래스 기본 클래스 객체 ① 객체 기본에서 객체란 키와 값으로 구성된 속성을 가지는 자료형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객체를 정의하고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며 이때 클래스를 사용하면 객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한 설계도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생성한다.class 클래스 이름 {} 이러한 클래스를 기반으로 생성한 객체는 인스턴스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생성한다.new 클래스 이름() 즉 클래스는 객체를 만드는 틀, 인스턴스는 각각의 구체적인 객체 정도로 이해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클래스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가진다. 생성자 앞서 인스턴스를 new 클래스 이름() 으로 생성한다고 하였는데, 이때 이 클래스 이름() 함수를 생성자라고 한다. 생성자는.. 2024. 10. 28. 예외 처리 ② 예외 처리 고급 앞서 프로그래밍 언어 오류에 해당하는 구문 오류와 예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특히 예외를 처리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급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예외 객체를 통해 발생한 예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JavaScript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예외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이는 프로그램에 수많은 버그를 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때문에 개발자가 예외를 강제로 발생시켜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존재하는데, 이때 throw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외 객체 앞서 try catch finally 구문에서 catch의 괄호 안에 exception을 입력하였다. 이때 exception이 바로 예외 객체로,.. 2024. 10. 27.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