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3

백준 1330번 백준 1330번을 풀고 다른 풀이를 찾아보니 입력 관점, 출력 관점에서 좀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정리해보았다.le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const a = Number(input[0])const b = Number(input[1])let outputif (a > b) { output = '>'} else if (a  입력 관점le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const [a, b] = inputlet outputif (a > b) { output = '>'} else if (a .. 2024. 9. 28.
객체 ② 기본 자료형과 객체 자료형 기본 자료형과 객체 자료형 앞서 자료와 변수 ① 기본 자료형에서는 기본 자료형에 대해, 객체 ① 객체 기본에서는 객체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JavaScript에서의 자료는 기본 자료형과 객체 자료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본 자료형으로는 숫자, 문자열, 불이 있고 이 셋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객체 자료형에 해당된다. 이때 객체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 속성을 가지는 자료형으로, 특히 함수 자료형을 가지는 속성은 메소드라고 부른다. 앞서 배운 배열, 함수 또한 객체 자료형으로, 속성과 메소드를 가질 수 있다.> const a = []undefined> a.sample = 1010> a.sample10> typeof(a)"object"> function b () {}undefined> b.sample =.. 2024. 9. 27.
객체 ① 객체 기본 앞서 반복문 ① 배열에서 배열이란 여러 변수를 한꺼번에 모아 사용하는 자료형이라고 했다. 이때 typeof 연산자를 이용해 배열의 자료형을 확인해보면 object, 즉 객체 자료형이 나온다. 즉 배열은 객체의 한 종류라는 것인데, 과연 객체란 무엇일까? 객체 객체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 속성을 가지는 자료형으로, 중괄호를 사용해 생성하고 내부의 값을 쉼표로 구분한다. 이때 이 내부의 값을 속성이라 하고, 하나의 객체는 다양한 자료형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객체의 예시이다.const book = { name: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author: '윤인성', publisher: '한빛미디어'} 속성 속성은 객체 내부의 값으로,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속성 값에 접근하기 객체 내 속성 .. 2024. 9. 22.
함수 ② 함수 고급 콜백 함수 JavaScript에서는 함수도 하나의 자료형이므로 매개변수로 전달할 수 있고, 이렇게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함수를 콜백 함수라고 한다. 0번째 함수 호출1번째 함수 호출2번째 함수 호출 함수를 매개변수로 가지는, 즉 콜백 함수를 사용하는 주요 메소드로는 forEach(), map(), filter()가 있다. forEach(), map(), filter() 모두 배열이 가지고 있는 메소드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된다.배열.메소드(function (value, index, array) {}) 즉 콜백 함수는 function (value, index, array) {}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데, 이때 value, index, array 중 필요한 매개변수만 선택적으로 순서에 맞춰 입력하면 되고 .. 2024. 9. 22.
함수 ① 함수 기본 익명 함수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으로, 함수의 기본 형태는 이름이 없는 함수인 익명 함수이다.function () {}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f () { console.log('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더보기나는 위 예제 코드가 뭔가 어색하게 느껴졌었는데, 함수도 하나의 자료형임을 떠올려보면 함수 자료형의 변수를 선언한 것일 뿐이니 이상할 거 없는 코드이다. 선언적 함수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름이 있는 함수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를 선언적 함수라고 한다.function 함수명 () {} 위 코드는 익명 함수를 다음과 같이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다.let 함수명 = function () {}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f func () { console.log('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익.. 2024. 9. 17.
반복문 ② 반복문 JavaScript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반복문에는 for in 반복문, for of 반복문, for 반복문, while 반복문이 있다. for in 반복문for (const 반복 변수 in 배열 또는 객체) { 문장} for in 반복문은 배열의 인덱스를 기반으로 반복할 때 사용하고, 배열의 인덱스를 반복 변수로 사용한다.0번째 요소: 101번째 요소: 202번째 요소: 30 for of 반복문 for in 반복문은 배열의 인덱스를 반복 변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반복문 내부에서 요소에 접근하려면 배열[인덱스]의 형태를 사용해야 하고, for in 반복문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위 기본형에 몇 가지 코드를 추가해야 한다. for in 반복문의 이러한 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for of 반복.. 2024.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