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3 입력과 출력 JavaScript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입력 방법과 출력 방법의 일부를 알아보자. 입력 문자열 입력prompt(메시지 문자열, 기본 입력 문자열) 불 입력confirm(메시지 문자열) 출력 개발자 도구 출력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about:blank를 입력하고 개발자 도구의 Console 탭에 들어가면 입력과 출력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경고창 출력alert(출력 문자열) 콘솔 출력console.log(출력 문자열) 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윤인성 저)를 바탕으로 공부한 내용을 작성한 글입니다. 2024. 9. 14. 자료와 변수 ③ 상수와 변수 앞서 자료와 변수 중 자료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이번 글에선 변수에 대해 알아보자.상수'항상 같은 수'라는 의미로, 한 번 값을 할당하면 변경할 수 없다. 상수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하며 선언 시 할당된 값은 이후 변경될 수 없다.이때 특정한 이름의 상수는 한 파일에서 한 번만 선언할 수 있고 선언 시 반드시 값을 함께 지정해주어야 한다.변수'변할 수 있는 수'라는 의미로, 값을 계속 변경할 수 있다. 변수는 le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하며 선언 시 할당된 값은 이후 변경될 수 있다.이때 특정한 이름의 변수는 한 파일에서 한 번만 선언할 수 있고 선언 시 값을 함께 지정해주지 않아도 된다.변수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복합 대입 연산자: +=, -=, *=, /=, %=증감 연산자.. 2024. 9. 14. 자료와 변수 ② 자료형 변환 앞서 자료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이번 글에선 자료형 간의 변환에 대해 알아보자.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하기 다른 자료형을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는 Number() 함수 또는 숫자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Number() 함수는 문자열 자료형을 숫자 자료형으로, 불 자료형 true는 1, false는 0으로 변환한다.> Number("10")10> Number(true)1> Number(false)0 문자열 자료형 또는 불 자료형에서 0을 빼거나, 1을 곱하거나, 1로 나누면 각 자료형을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 "10" - 010> true - 01> false - 00더보기더보기다른 자료형을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하다보면 NaN 값을 만나게 되는데, 이때 NaN 값은 자료형은 숫자 .. 2024. 9. 14. 자료와 변수 ① 기본 자료형 이번 글에선 자료와 변수 중 먼저 자료에 대해 알아보자. 자료와 자료형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자료라고 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는 자료를 쉽게 다룰 수 있도록 자료를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는데,이때 자료를 형태에 따라 구분해놓은 것을 자료형이라고 한다.JavaScript에서는 다양한 자료형을 제공하는데, 특히 숫자, 문자열, 불 자료형이 가장 기본적이다.숫자 자료형 JavaScript에서는 숫자를 입력해 숫자 자료형을 생성한다.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int, float과 같이 소수점이 없는 숫자의 자료형과 소수점이 있는 숫자의 자료형을 구분했던 것과 달리,JavaScript에서는 소수점이 없는 숫자와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숫자 자료형 하나로 구분한다.> 1010> 10.2310.23숫자.. 2024. 9. 14. JavaScript 기본 JavaScript의 구체적인 내용을 학습하기에 앞서, JavaScript의 기본 개념 중 중요한 부분과 내가 자주 헷갈려하는 부분을 정리해보았다.표현식과 문장 표현식은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를, 문장은 하나 이상의 표현식이 모인 것을 의미한다.코드를 읽어 들이는 기본 단위는 문장으로, 문장과 문장은 줄바꿈 또는 세미콜론으로 구분하고 줄바꿈과 세미콜론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키워드와 식별자 키워드는 JavaScript가 처음 만들어질 때 정해놓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단어를, 식별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를 의미한다.식별자를 만들 때는 반드시 다음의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다.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공백 문자를 포함할 수 없다.특수 문자는 _와 $만 .. 2024. 9. 13. URL 입력부터 화면에 웹 사이트가 나타나기까지의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아래에 더 자세히 서술하겠지만 핵심 과정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1.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한다.2. 웹 브라우저가 도메인 명으로 IP 주소를 조회한다.3.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TCP 연결을 설정한다.4.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 HTTP 요청을 전송한다.5. 웹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웹 브라우저로 응답을 전송한다.6. 웹 브라우저가 전송 받은 콘텐츠를 렌더링한다. 1.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한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의 URL을 입력한다. 이때 URL은 프로토콜과 도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프로토콜은 컴퓨터 내부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의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한 규약을, 도메인은 컴퓨터의 IP 주소에 매핑되는 텍스트 문자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htt.. 2024. 9. 1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