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2 시간 관련 유형 백준 2884번, 2525번을 토대로 시간 관련 유형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백준 2884번le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let [H, M] = input.map(Number)M = M - 45if (M 백준 2525번le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let A = Number(input[0].split(' ')[0])let B = Number(input[0].split(' ')[1])let C = Number(input[1])let b = (B + C) % 60let a = A + Math.fl.. 2024. 10. 3. 백준 2480번 백준 2480번을 풀어보았다.le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const a = Number(input[0])const b = Number(input[1])const c = Number(input[2])let rewardif (a === b) { if (b === c) reward = 10000 + a * 1000 else reward = 1000 + a * 100} else if (a === c || b === c) { reward = 1000 + c * 100} else { reward = Math.max(a, b, c) * 100}console.log(reward) 같은 눈이 3개인 경우, 2개.. 2024. 10. 2. 문서 객체 모델 ① 문서 객체 조작 HTML 페이지에 있는 html, head, body, title, h1, div, span 등을 HTML에서는 요소, JavaScript에서는 문서 객체라고 부른다.즉 문서 객체를 조작한다는 것은 h1, div, span과 같은 HTML 요소를 조작한다는 의미로, 문서 객체를 조합하여 만든 전체적인 형태를 문서 객체 모델이라고 한다.* * 문서 객체 모델의 넓은 의미는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인식하는 방식, 문서 객체 모델의 좁은 의미는 문서 객체의 집합으로, 간단히 이해하면 HTML 문서가 곧 문서 객체 모델인 것 같다. DOMContentLoaded 이벤트 DOMContentLoaded 이벤트는 웹 브라우저가 문서 객체를 모두 읽어들인 뒤 발생하는 이벤트로,문서 객체를 조작할 때는 DOMCo.. 2024. 10. 2. 웹 사이트의 에셋을 여러 도메인으로 서빙했을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웹 사이트의 에셋을 여러 도메인으로 서빙하는 것을 도메인 샤딩이라고 한다. 도메인 샤딩브라우저가 웹 사이트의 에셋을 다운받을 때 해당 웹 사이트의 도메인으로부터 모든 에셋을 다운받지 않고 여러 개의 서브 도메인으로 에셋을 나눠 다운받는 방법 shard는 조각, 파편이라는 뜻으로 도메인 샤딩이라는 것은 곧 하나의 도메인을 여러 개의 도메인으로 조각낸다는 의미이다. 이때 굳이 하나의 도메인을 여러 개의 도메인으로 조각내는 이유는 하나의 도메인으로부터 모든 에셋을 다운받지 않고 여러 개의 서브 도메인으로 에셋을 나누어 다운받음으로써 동시에 더 많은 에셋을 병렬로 다운받을 수 있게끔 하고 결과적으로 페이지 로딩 속도와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에셋이란 CSS, JavaScript, 폰트, 이미지 등의 .. 2024. 9. 30.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3 다음